세트론 300B 파워 앰프
본기는 고능율거치형 스피커시스템의 구동을 목적으로 하는 고충실도 전음대역재생용 파워앰프 이다.
디스크를 소스의 중심으로 하지만 2트랙38테이프의 재생에도 충분히 실용적인 앰프로 만들고자 한다. 사용 예정된 리스닝룸은 흡음에 공들인 상면적3m X 5m, 높이2.5m 의 거주성이 좋은 거실이다. 이같은 조건 아래서는 5~10W 정도 있으면 실용상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단 되고 있기 때문에 본기는 이정도의 출력으로 한다. 음질이 매우좋은 반도체 앰프가 이처럼 보급되어 있는 오늘에도 오디오의 세계에는 필자처럼 음질만 좋으면 반도체식이나 진공관식이나 좋다고 생각하는 분들에게 밀려도 아무리 그래도 진공관식의 방법이 마음에 드는
음질이 얻어진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아직도 많은 것은 이상한 일이다.
감정에 강하게 호소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의 재생에는 진공관식 앰프의 방법이 극히 자연스럽게 순수한 인간의 마음에 파고드는 것은 왜 일까. 이와같이 재미있는 테마를 공유 하고싶은 진공관 앰프에 필자는 한없는 애착을 같고있다. 뛰어난 진공관식 앰프의 설계,제작 시험은 상술의 문제를 명쾌하게 밝혀 주는 의미에서도 의의가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 한다. 이처럼 사정을 고려 해서 , 본기는 진공관식 모노 앰프로 해서 설계 제작을 하고 스테레오용 으로는 2대를 필요로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설계 방침
사용된 상황 및 설계사상으로 부터 최데추력은5~10W로, 위에 서술한 대로 진공관방식 채용 을 결정 한다. 최대출력으로 부터 유추해서 출력단은 3극관 또는 다극관의 3단을 이용한 싱글 방식으로 적당한, 2트랙38테이프를 소스로 해서 사용 하고싶은 희망으로, 최대입력시에 걸쳐 추종능력이 뛰어난 앰프가 요구되는 것은 논할 필요가 없다.
추종능력이라는 것은 엄밀함이 부족한 용어 지만 비주기적인 펄스성의 큰 입력신호에 대하여 재빠르게 충실한 응답을 하는 능력으로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런 관점으로 부터 전원 부분과 출력관을 중심으로 한 출력단에 특별히 중점을 두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먼저 사용출력관을 결정 하고 추종능력을 중요시 하는 입장에서 출력관에는 다소 구식이지만 직력3극관을 기용 하는 것이 타당 하겠지요. 직렬3그관 이라고 한다고 해도 좋은 것만은 아니고, 필요한 출력을 고려 해 선택 하면 현재국내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입수할수있는 것으로는 300B, DA30(신형), PX25(신형)을 들수 있다.
이중 DA30, PX25의 신형관은 어디에도 있지만 순3극관이 아니기 때문에 오늘 선택해 봤다. 또 구형관은 입수 곤란한 점이 제작기사용으로서는 부적당 한지도 모른다. 이처럼 생각 해서, 입수면에 최고용이하고 그성능에는 정평있는, 게다가 필자의 사용 경험있는 300B를 사용 하는 것이다.
본기 제작기사는 웨스턴 엘렉트릭 및 세토론(CETRON) 양사의 300B를 사용 시험 한다.
전원부는 정류소자로서 진공관과 실리콘 소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 하고 있다. B전원은 출력단과 전압증폭단을 다른 전원으로 하고있다. 출력단용 B전원의 정류에는 직렬정류관을 사용하고, 전압 증폭단용B전원의 정류에는 실리콘소자를 사용 하고있다.
각각에는 고내압 케미콘을 대량투입 해서 레굴례션을 보다 이층 개선 쾌 하고있다.
진공관을 포함해서 특주한 사용하지 않고 안정성으로 가든지, 재생음질의 품위로 가든지가 최고 클라스의 것을 용이하게 제작 할수있도록 제작기사로 하고, 부품의 입수면, 제작, 조정면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한다.
'--- 오디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더 피델리오 스피커 170 (0) | 2010.10.23 |
---|---|
탄노이 아룬델 들였습니다. (0) | 2010.10.12 |
2. Audio Technology 225페이지 세트론 300B 회로설계 (0) | 2010.09.28 |
거실 오디오 배치 변경 (0) | 2010.09.27 |
생각나서 로더 사진 몇장 올립니다. (0) | 201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