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처럼 나타난 20살의 천재, 존 내쉬. 어느 날 짓궂은 친구들과 함께 들른 술집에서 금발 미녀를 둘러싼 친구들의 경쟁을 지켜보던 존 내쉬는 섬광 같은 직관으로 균형이론의 단서를 발견하게 됩니다. 1949년 그가 발표한 불과 27쪽 짜리 논문은 150년 동안 지속되어 온 경제학 이론을 뒤집게 되고 신 경제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하루아침에 학계의 스타로, 제2의 아인슈타인으로 등장합니다. 이후 MIT 교수로 승승장구하던 그는 정부 비밀요원 윌리엄 파처를 만나 소련 암호 해독 프로젝트에 투입됩니다. 하지만 정작 그를 당황케 한 것은 몇 만개의 암호가 아닌 사랑이란 인생의 난제였습니다. 자신의 수업을 듣던 물리학도 알리샤와 사랑에 빠진 그는 굳게 닫혔던 마음의 문을 열게 됩니다. 결혼 후 얼마 있지 아니하며 찾아 온 정신 분열증, 하지만 헌신적인 아내의 간호로 30년 동안 자신을 괴롭혀 왔던 병과 싸워 이깁니다. 1994년, 드디어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 자리에서 존 내쉬는 말합니다. “저는 그동안 물질적 세계와 형이상학적인 세계와 비현실적인 세계에 빠졌다가 이렇게 돌아왔습니다. 이제 저의 연구 활동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어떤 논리나 이성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한 사랑의 방정식을 말입니다.”
오늘이 아내의 생일입니다. 존 내쉬가 아내를 바라보면서 건넸던 찬사로 아내의 생일을 축하해 봅니다. “(그리고 전) 깨달았습니다. 당신은 내 존재의 이유이고 나의 모든 이유는 당신입니다.”
생일 날, 함께 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이렇게 전합니다. “보여, 요해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