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잉에
이런 질문이 있습니다.
1) 비행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요?
비행기가 기울어지는 요인은 4가지가 있습니다.
*주날개 양쪽의 비틀림 차이
*주날개의 양쪽 무게 차이
*수직꼬리날개의 비틀림
*바람과 수직하여 달리지 않을 때
하지만 이는 적정속도 이상으로 달렸을 때
생기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비행기가 한쪽으로 기운다면 당황하지 말고 먼저 달리는 속도를 서서히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비행기가 기울어지는 쪽으로
달려 비행기가 기울어지는 것을 잡은 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서서히 뛰어야 합니다. 비행기의 결함으로 비행기가 기운다면 비행기는 지속적으로
기울기 때문에 속도를 계속 줄여 줄이 풀리지 않는 상태에서 비행기를 착륙시키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사전에 꼼꼼한 정비로 실전에서 비행기가 기울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비행기가
매우 빠른속도로 한쪽으로 기울어요?
이는 너무 빠른 출발속도로 인해서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며
그대로 달리다가 비행기가 파손되기 때문에 빠른속도로 기울 경우 기우는 쪽으로 빠른속도로 따라가거다 그래도 안될 경우 줄을 비행기에서 풀어
비행기가 땅에 충돌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3)아무리
뛰어도 비행기가 떠오르지 않아요?
근본적인 이유는
바람이 너무 않불어서입니다.
하지만 후크의 위치가 너무 앞쪽인 것 같습니다. 후크의 위지를 뒤로 옮겨
보세요
4)비행기가
오르다 뒤로 튕겨 버림니다.
대부분의 경우
후크의 위치가 너무 뒤쪽에 있어서이며 종종 후크를 제작한 철사의 굵기가 너무 얇아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5)비행기가
어느정도 높이 올라간후 머리위를 지나가지 않고 뒤만 졸졸 따라 옴니다.
처음부터 너무 천천히 비행기를 토잉해서
일 경우 속도를 급격히 올려 줄에 좀더 큰 힘을 실어 뛰면 비행기가 속도를 가져 머리위를 지날 수 있습니다. 그래도 되지 않을 경우는 후크의
위치가 너무 앞에 있어서 이며 후크의 위치를 뒤로 옮겨야 합니다.
토잉에서
보조자가 해야할 일
토잉할 때 보조자의 임무는 주를 끌어야 하는 대회참가자 보다
더 힘든 임무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글라이더의 경우 실력이 좋은 보조자 1명 덕분에 특정 팀에서 많은 사람이 입상하곤 한다.
보조자의 임무는 처음 비행기가 기울어지지 않고 적당한 속도로 떠오르게 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임무를
완수 할 수 있을까?
① 잡고 있는 비행기가 기울어 져있는지 수시로 확인 해야 한다.
② 끄는 사람과의 줄의 장력을 잘 조절하여야 하는데 줄은 너무 팽팽해서도 너무 느슨해서도
않된다.
③ 정확히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뛰어야 하며 자주 바람이 바뀔 시에는
원하는 바람이 불 때 까지 기다려야 한다.
④
보조자는 줄을 끄는 사람과 같은 속도로 달려야 한다.
⑤ 비행기의 초기상승 속력을 잘 조절해야 한다.
비행기를 놓는 순간의 각도에 따라 글라이더의 초기 상승
속력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바람의 세기에 따라 놓는 순간의 글라이더와 지면사이의 각을 조절 해야 하는데, 거의 없는 바람에서는
머리부분을 30도 정도로 들어야 하며 (아래그림)바람이 셀수록 그 각도를 낮추어 끄는 사람이 뛰지 않아도 비행기가 떠오를 정도의 바람이면 (윗
그림)그 각도를 0도로 하는 것이 좋다.
⑥ 줄을 놓는 순간 비행기에는 어떠한 힘을 주어서도 않된다. 오직 실에 의해서 비행할 수 있게 바람에 살짝 얻어 놓는다는
느낌으로 놓아야 한다. (절대 보조자는 비행기를 던져서는
않된다.
⑦ 대회장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10내외의 짧은 거리에서 비행기를 놓아주는 것이 좋다.
⑧ 후크에 정확히 실의 고리가 걸려 있는 지 확인하며 비행기에 엉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토잉(towing)
글라이더를 줄을 이용하여 높은 고도에 올리는 것을 토잉이라고
한다.
대회에서는 줄의 길이를 30m 또는 50m의 공통된 줄을 사용하여 토잉후 비행기에서 줄을 푸는 순간부터 체공시간을
측정하여 그 순위를 가린다. 비행기를 아무리 잘 만들어도 토잉을 잘 할 수 없다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없다. 그럼 어떻게 하면 토잉을 잘 할
수 있을까?
물론 경험이다. 많이 해본 사람이 잘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토잉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①비행기 상태 점검
토잉을 하기 전에 자신의 비행기를 잘 알아야 한다. 토잉은
바람에 비행기를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비행기를 토잉한다면 파손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1) 양쪽 날개의 뒤틀림 정도가 있는지 또는 그 정도가 같은지 확인해야 한다. 뒤틀려 있는 날개를 가진 비행기를 토잉을
한다면 비행기는 한쪽으로 기울게 되며 올바른 토잉을 할 수
없다.
2) 날개의 양쪽 무게는 같은지 확인해야 한다. 날개의 양쪽 무게가
다르다면 비행기도 한쪽으로 선회하며 비행한다.
3) 후크의 위치 와 비행기의 부착 상태.
후크가 글라이더에 튼튼히 부착 되어있지 않으면
토잉중 떨어져버려 토잉에 실패할 우려가 있다.
②정확한 바람의 파악
토잉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수직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것은 토잉할 줄의 상태를 보면 알수 있는데 바람에 나란히 있지 않는다면 줄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③적당한 속도
토잉을 한다고 하면 흔히 빨리 달려야 한다고 고정관념을 가지기 쉽다. 하지만
뛰는 속도는 바람과 후크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줄을 끄는 사람이 달리는 이유는 달리면서 바람을 얻는 것이다.
그만큼 바람이 불어주면 달릴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보통날씨의 경우 바람이 약하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달려야 하지만 종종 바람이 많이 불면 전혀
뛰지 않고도 글라이더를 원하는 고도까지 토잉 할 수 있으며 특히 강한 바람에서는 비행기날개의 파손우려로 인해 오히려 바람이 부는 쪽으로 가주어야
할 때도 있다.
④비행기에서 눈을 때지 말아라
토잉은
그냥 직선으로만 달리는 것이 아니다. 줄을 끄는 사람은 비행기에서 눈을 때에서는 안되며 비행기가 적절한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지 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는 않는지 계속해서 확인해야 하며 간간히 뛰고자 하는 방향을 봐 넘어지거나 다른 물체에 부딪치지 않게 해야 한다.
⑤줄
푸는 방법과 시기
1)줄을 푸는 방법
처음에 글라이더를 토잉한다면 줄이 어떻게 풀리는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줄은 의외로 간단히 풀린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이 날리는 작은 비행기의 경우 비행기가 날고있는 반대방향으로
하늘을 향해 살짝 던지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하지만 토잉에 조금 익숙해지면 달리는 반대방향으로 손을 한번 젓혀 주면 쉽게 비행기에서 줄을
풀 수 있다.
2)후크에서 실을 푸는 시기
실을 푸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토잉하여 비행기를 자신의
머리위쪽 까지 올린 후 속도를 줄여 서서히 뛰다가 상승기류를 만나 줄이 갑자기 팽팽해짐을 느끼면 비행기 비행기의 진행방향 반대편 하늘로 실패를
던진다.
상승기류를 만나지 못했을 때는 비행기가 자신의 머리위 까지 올린 후 비행기가 자신의 앞으로 지나갈 때 손을 뒤쪽으로
크게 움직여 실을 살짝 푼다.
비행기를 자신의 머리위로 올렸을 때나 어느 정도의 고도확보 후 비행기의 방향이 변하면
그 순간 줄을 푼다.
위의 방법은 성공적으로 토잉을 하였을 경우입니다.
하지만 실수하지 않는 토잉을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후크에서 실을 푸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비행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줄을 풀어야 합니다.
이럴 땐 줄을 풀면 안됀다.
비행기가 최고의
고도에 올랐다 하더라도 비행기의 속도가 줄고 있을 때
비행기가 상승하고 있을 때
비행기의 고도가 수직으로 서서히
떨어질 때
위의 상태에서 줄을 풀어 버리면 비행기는 곧 실속하여 비행시간을 크게
떨어뜨림니다.
또 비행기가 걷잡을 수 없이 한쪽으로 기울어 버리면 실패를 비행기 방향으로 던져서라도 비행기가 땅에 충돌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⑥후크의 위치
후크의 위치는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후크의 위치는 바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능하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후크를 이동시키게 만드는 것은 글라이더의 무게를 증가시켜 활공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래서 후크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것보다는 후크를 2개 혹은 3개 붙이는 것이 효율 적일 수
있다.
후크의 위치는 글라이더와 바람과의 각을 결정 시켜 준다. 후크의 위치가 글라이더의 머리부분 쪽으로 갈수록 바람과의
각도는 작아 강한 바람에 유리하며 꼬리 쪽으로 갈수록 바람과의 각이 커져 약한 바람에 유리하다. 하지만 후크의 위치는 절 때 글라이더의 무게
중심 뒤쪽으로 가서는 안되며 전혀 없는 바람에도 후크의 위치는 무게중심보다 조금 앞에 있어야 한다.
후크의 위치 그림으로 예를
들었다. 첫 번째 그림에서 뒤쪽의 후크는 작은 바람에서 앞쪽의 후크는 좀더 강한 바람에서 사용할 수 있다. 뒤쪽 후크는 전혀 없는 바람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위치하였으며 앞쪽의 후크는 비교적 강한 바람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 그림에서의 후크는
글라이더의 꼬리날개에 양력이 있을 경우이다. 꼬리날개의 양력이 있으면 무게중심은 뒤로 가지만 후크의 위치는 이에 따라가지 않는다.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많이 가더라도 후크의 위치는 가급적 날개중앙보다 뒤쪽으로 가지 않는 것이
좋다.
'--- 모형항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라이더 날리기 상황별 (0) | 2005.04.15 |
---|---|
글라이더 점검 (0) | 2005.04.15 |
글라이더 상반각? -3 (0) | 2005.04.15 |
무한체공을 위한 비행요건-2 (0) | 2005.04.15 |
글라이더의 토잉(TOWING)-1 (0) | 2005.04.15 |